#129 상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매를 길들이다

 

 

한편을 같이 읽어요! 모두 건강히 잘 지내고 계신가요? 오프라인이냐, 온라인이냐? 예언과도 같은 지난 편지 이후, 저는 격리되어 일주일간 온라인에만 존재하게 되었어요. 침대에 누워 잠만 자던 시간이 지나고 심심해하던 때, 주문해 두었던 「헤어질 결심」 각본집이 마침내 도착했답니다. 각본집을 읽고 정서경 작가와 박찬욱 감독의 인터뷰도 봤는데요. 그중 인상 깊었던 건 이 작품이 사람이 아닌 ‘자연의 일’이라는 작가의 말이었어요. 그 말을 듣고 문득 떠올라 다시 펴 봤던 책 『메이블 이야기』를 소개해 드려요.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거대한 상실에 빠진 저자가 참매에 ‘메이블’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길들이는 이야기예요.
매잡이이자 과학자 교수인 톰 케이드는 매 훈련을 일종의 ‘강렬한 탐조’라고 묘사한 적 있다. 나는 멋진 구절이고 정확한 표현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제 나는 그게 틀린 말이라는 것을 안다. 내가 방금 한 일은 탐조 같은 게 아니었다. 오히려 도박과 비슷했다. 판돈이 어마어마하고 피가 난무하긴 했지만. 이것의 핵심에는 자발적인 통제력 상실이 있었다. 마음을, 기술을, 영혼을 하나의 일에―매 훈련에, 경마에서 기술을 배우거나 카드 게임에서 숫자를 맞추는 데―쏟고 난 다음 그것에 대한 통제를 포기해 버린다. 그게 함정이다. 일단 주사위가 던져지고, 말이 달리고, 매가 주먹에서 떠나면 자신을 그저 운에 맡길 뿐 결과를 통제할 수 없다. 하지만 그 순간까지 해 온 모든 것이 우리에게는 행운이 따를 거라며 달랜다. 매는 사냥감을 잡고, 카드는 패가 딱 맞고, 말은 1등으로 들어올 거라고. 이 작은 망설임이라는 공간에 있기가 어색하다. 세상의 자비에 완전히 맡겨진 안전한 기분이 든다. 이것은 쾌감이다. 우리는 그 안에서 헤맨다. 그리고 운명의 작은 가망성들을 향해, 세상이 나가는 그곳을 향해 달려간다. 그것은 미끼다. 그래서 우리는 상처와 슬픔으로 무력해지면 마약, 도박, 술에 빠진다. 메이블과 나갔던 그날 나는 중독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어떤 면에서 그것은 바늘을 찔러 헤로인을 투약하는 것처럼 파괴적이었다. 나는 어떤 곳으로 달아났고, 거기서 다시는 돌아오고 싶지 않았다.
─ 헬렌 맥도널드, 공경희 옮김,
『메이블 이야기』 280~281쪽 중에서
저자는 인간 세계에서는 도저히 회복할 수 없는 상실감에 야생으로 도망칩니다. “인간의 연악함을 뜯어내 버리고” “무자비하지만 정중한 자포자기의 세계”에 자신을 가두고 싶은 욕망에요. 위 내용을 읽으면 줄 없이 매를 날려 보낼 때 저자가 어떤 해방감을 느꼈는지를 알 수 있어요. 하지만 슬픔과 후회, 과거와 미래 없이 오직 현재이기만 한 매의 세계에 중독되는 것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네요.
음, 짧은 발췌인데 강렬하네요. 역시 일주일 동안 격리되어 있던 처지에서 빠져들듯이 읽었어요. 『메이블 이야기』가 아버지를 잃은 딸의 이야기라는 데 마음이 가는데요. 저는 격리 마지막 밤에 영화 「일대종사」를 다시 봤는데, 여기에 나오는 궁이라는 인물에 같은 이야기가 겹쳐져요. 영화를 안 본 분들을 위해서 너무 많은 이야기를 늘어놓는 대신…… 또 한 편의 매 이야기를 인용해 둘게요. 상실되어 가는 매잡이 일에 관한 단편 소설이죠. 매잡이 곽 서방더러 서 영감이 매 잡는 일을 좀 그만두라고 하는 대목이에요.

“내 매 값 몇 푼이 아까워서가 아니야. 매를 찾아오면 또 자네 꼬락서니가 못 보겠다는 말야.”

 

“저도 사냥이 문제가 아니에요. 이제 사냥은 되지도 않구요.”

 

“그럼 자넨 지금 정말로 그 매주의 도리라는 것 때문에 이러는 것인가?”

 

서 영감의 목소리가 갑자기 은근해졌다.

 

“하여튼 번개쇠를 찾아야겠어요.”

 

“그럼 약속해 주겠나?”

 

영감은 무슨 생각이 들었는지 자꾸 목소리가 낮아졌다. 곽 서방은 영문을 몰라 처음으로 영감을 정시했다.

 

“매를 찾기만 하고 사냥 따윈 다시 나서지 않는다고.”

 

“…….”

 

곽 서방은 또 다시 입을 다물어 버렸다.

 

“매는 찾아오되 매 병은 가져오지 말라는 말일세. 실상은 나도 전혀 자네 심정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 왜 나도 전에는 자네들을 부리지 않았나. 하지만 지금은 달라. 내가 미쳤다고 뭐 얻어먹은 것 없이 자네 하는 일을 못 마땅해 하겠나. 세상이 그래서는 안 되겠기에 더구나 자넨 선량한 줄 내가 아는 터라 좀 사람다운 대접을 받게 되라고 이러는 거지. 나도 실상 어떤 때는 뭐가 옳은지 그른지를 잘 모르게 될 때가 많기는 하지. 하지만 어쨌든 자네가 지금 이런 곤욕을 당하고 있는 것은 그 매라는 놈 때문이 아닌가 말일세.”

 

결국 그날 영감은 하고 싶은 말을 실컷 다하고 나서 쌀 한 말 값을 내놓았다. 그 돈으로 매를 찾아오더라도 절대로 다시 사냥을 나서지 않는다는 조건에서라고 몇 번씩이나 다짐을 했다. 그러나 곽 서방은 돈을 움켜쥐고 나오면서 끝내 거기 대한 약속의 말을 하지는 않았다. 시류를 쫓아서 사는 사람들은 그 시류에 맞춰 생활을 잘 요리해 갈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기가 얼마나 그 시류에 민감하고 영리하게 적응하는가를 자랑스럽게 이야기하며 스스로 만족한다. 곽 서방은 영감의 집을 나오면서 벌써부터 그것을 느끼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영감이 그렇게 곽 서방을 걱정해 주고 충고를 해 주는 데도 곽 서방이 한 번도 그것을 고맙게 생각해 본 일이 없다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 아니었을는지.

─ 이청준,『매잡이』 중에서
「일대종사」를 나중에 볼 영화 리스트에 넣어 두고……  1968년 발표된 소설 「매잡이」를 다시 보니 새삼 변화가 정말 빠르구나 싶어요. 시류를 따르는 건 쉽지 않겠다 싶고요.  ‘시류를 쫓아가면서 그런 스스로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만족한다’는 데서 뜨끔하네요. 오늘도 플랫폼을 떠돌면서 이것도 저것도 봐야 한다고 괴로워하던 참이었거든요. 시류를 허겁지겁 따라가기보단 좋아하는 콘텐츠를 오래 찾아보고 여러 번 곱씹고 싶은데 말예요.
  
민음사
1p@minumsa.com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1길 62 강남출판문화센터 5층 02-515-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