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여덟 살 이덕무』의 한 서평 제목은 “조선의 흙수저가 쓴 묵직한 자기계발서”였다. 이덕무는 요즘 말로 흙수저였다. 서얼 출신으로 정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으며 지독한 가난에 시달렸다. 영양실조로 폐병에 걸린 어머니가 삯바느질하며 내는 기침 소리를 들으며 홀로 책을 읽고 글을 쓰며 학문을 갈고닦아, 당대 최고의 지성인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유득공 등과 교류하였으며 사가시인(四家詩人)의 한 사람으로 청나라까지 이름을 알렸으니 실로 대단한 정신력의 소유자였다. 나는 정민 선생이 옮긴 이덕무의 글을 읽으며 짧은 글 한 토막마다 반성했고, 글을 쓴 당시 이덕무의 나이를 떠올리며 반성을 거듭했다. 이 책은 이덕무가 열여덟에서 스물세 살 무렵 쓴 자기 다짐에 대한 글 묶음으로, 절박한 가난 속에서도 혼자 공부하여 바른 정신을 지니고 살고자 날마다 하루하루의 다짐을 적고 또 적은 흔적들이다. 청신하고도 단단한 마음가짐이 드러나는 짧은 글 몇 구절을 담아본다.

 

 

KakaoTalk_20190218_142824658_06

 

 

한결같이

말은 간결하게 하고, 걸음은 신중하게 한다.

마음을 언제나 한 일(一) 자 위에다 둔다.

簡言語, 愼行步, 心常在一字之上也.

 

여유

좋은 사람이든 나쁜 사람이든

봄바람의 화창한 기운처럼 대해서 여유작작해야 한다.

큰일이든 작은 일이든 푸른 하늘에 뜬 밝은 해와 같이 처리해서

편안하게 포용력이 있어야 한다.

人無美惡, 待之如春風和氣, 綽綽有裕. 事無大小, 處之如靑天白日, 休休有容.

 

간결함과 고요함

간결함으로 번다함을 누르고, 고요함으로 움직임을 억제한다.

일생토록 이를 지켜 간직하면 이것이 바로 마음을 바르게 하는 공부다.

이 때문에 군자는 말이 간결하고 마음은 고요하다.

簡以制煩, 靜以制動. 一生服膺, 是正心工夫. 故君子言簡而心靜.

 

 

 

편집부 김혜원 부장

이덕무 | 옮김 정민
연령 15세 이상 | 출간일 2019년 2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