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 한편 10호 표지와 부록 대공개

 

 

지금 정기구독하면 1+1 ?!
새해 처음 선보이는 《한편》이자 대망의 10호 주제는 ‘대학’이에요. ‘대학에 안 가도 잘 살 수 있다’라는 구호가 들려오는 한편 치열한 입시가 계속되는 모순된 현실에서 대학의 의미를 탐구해 보려고 해요. 막 수능시험을 치른 대학생부터 대학원생과 강사, 청소노동자까지 대학 안 사람들의 이야기와 대학 밖에서 배움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까지 꽉 찬 열 편이 담겨 있어요. 마감이 코앞이에요. 정말로……  곧 여러분들을 찾아갈 10호 ‘대학’ 표지를 처음 공개합니다!
고등학생 시절, 저는 대학에 가면 ‘완전히 새로운 나’로 태어나는 줄로만 알았습니다. 하지만 막상 입학하고 보니 설렘보다는 두려움과 혼란, 막막함이 덮쳤어요. 배움의 과정은 고통스럽고, 자유로워 보이는 4년의 시간은 쏜살같이 지나가며, 대학은 학생과 교수자보다 더 많은 구성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왜 아무도 알려 주지 않았을까 원망도 했습니다.
대학을 가야 하는지(들어가고는 싶은지), 어느 대학을 가고 싶은지, 어떻게 들어가야 하는지, 들어가서는 어떻게 그 시간들을 통과해야 하는지, 자주 바뀌는 대자보와 플래카드의 목소리는 어떻게 소화해야 하는지, 배움에 대한 열망은 대학에서만 해소할 수 있는 건지…… 대학에 들어가기 전부터 대학을 졸업한 지금까지 마음 한구석에 응어리져 있는 질문들을 꺼내어 이야기하는 10호, 기대해 주세요!
대학의 막강한 영향력 중 하나는 많은 10대 후반의 청소년들과 20대 초중반 청년들에게 비슷한 성장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인 것 같아요. 대학의 권위가 무너지고 있다고 하지만 ‘상위권’ 대학에 가기 위한 입시 경쟁이 여전히 치열한 가운데, 대학을 가든 가지 않든 한국의 성인 되기 서사에서 대학이라는 이름을 빼놓을 수 있을까요?
저는 입시 위주 교육을 지양하는 고등학교를 다녔는데요, 그렇지만 고3이 되자 저와 많은 친구들은 (결국) 대입을 택했고, 갑자기 수능 공부, 수시·논술 준비 등을 하느라 난리가 벌어지기도 했어요. 그러는 와중에 지난 몇 년간 받은 ‘대안’ 교육은 이렇게 힘이 없는 걸까 좌절스럽기도 했고 학력·학벌주의 사회에 편승한다는 죄책감이 들기도 했어요.
이번 ‘대학’ 편을 준비하면서는 제게 익숙한 성장 서사가 얼마나 수도권, 대학 진학자 중심으로 짜여 있는지를 여실히 깨달았는데요. 공부와 배움, 성장이라는 키워드를 대학과 나란히 두고 볼 때 어떤 이야기들이 나올 수 있는지 《한편》 10호에서 확인해 주세요.
저도 이번 호를 만들면서 대학 시절과 대학 입시가 전부였던 청소년 시절을 자주 떠올렸는데요. 대학을 경험한 사람으로서 당연하게 전제했던 것들을 비판적으로 되돌아보는 한편, 대학 안팎에서 어떤 공부와 배움이 가능할까 생각해 보고 있어요.
그리고 중요한 소식.  한편 창간 3주년을 맞아 10호 ‘대학’과 함께 정기구독자들에게 발송되는 또 한 권의 책이 있는데요. 바로 인터뷰집 『공부하는 일』이에요. 한편 ‘일’ 호와 함께 나왔던『책 만드는 일』처럼 정기구독자에게는 특별부록으로 발송되고, 단행본으로 묶여서 곧 판매됩니다!
저는 서평지 《교차》를 만드는 남수빈 편집자님과 『우리를 바꾸는 우리』의 저자 조무원 선생님을 만났어요. 서평지를 만드는 편집자는 무슨 일을 어떤 기준을 갖고 하는지, 연구자들은 무엇을 보고 어떻게 정리하는지 속속들이 물어봤답니다.
아아, 《한편》이 나온 지 3년이 되었다니…… ‘세대’가 나온 2020년 1월 이래로 매년 연말연시를 1월호를 만들며 보내고 있어요. 어수선한 연말에 주제에 빠져들어가다가 낯선 새해에 마침내 주제를 세상과 연결시키기란 늘 아슬아슬하네요.
열 번째 권을 만들면서 저는 ‘대학’이라는 주제의 무게를 점차 느꼈어요. 학계와 시장 사이, 학술서와 대중서 사이에서 애매한 줄타기를 하기로 정평이 난 《한편》. 앞으로는 어디로 갈까? 이런 고민을 풀어헤치려고 특별부록 인터뷰집을 기획했습니다. 대학교 안팎에 있는 저자, 편집자들을 만나서 솔직한 이야기를 나눈 거예요.
저는 1호 ‘세대’에 「청년팔이의 시대」를 쓴 김선기 연구자를 첫 번째로 인터뷰했는데요. 경험 연구를 해본 필자들이 늘 언급하는 놀라움을 저도 겪었습니다. 혼자 품고 있던 경직된 생각과 막연한 소망이 대화 속에서 풀려나면서 인터뷰 대상에게 깨달음을 얻을 때의 놀라움이요. 이번 인터뷰집 『공부하는 일』의 콘셉트는 공부하면서 일하고, 일하기 위해 공부하는 삶의 시행착오와 결실까지 드러내기입니다. 한탄하기보다는 자부할 용기를 가지고 풀어놓은 공부 이야기를 눈여겨봐 주세요. (이하 수정 중인 표지)
연말연시는 《한편》 만들기와 함께. 아직 2023년을 실감하지 못하는 것은 이 유구한 전통 덕분이군요. 이번 호에서 처음 발간사를 쓰는 저는 9호를 낸 이후 머릿속이 온통 대학 생각뿐이었는데요. ‘대학 하면 꼭 나오는 중세 이후의 대학사, 대학의 위기 담론 말고 다른 이야기를 하고 싶다!’라는 호기로운 다짐이 가끔은 이루어진 듯도 하고 여전히 요원한 것도 같습니다. 무사 출간한 후 독자님들의 반응까지 보아야 지난 넉 달 동안 열 분의 필자와 편집부일원이 이어온 고민이 유효한 지점을 건드렸는지 확인할 수 있겠어요.
편집이 막힐 때면 『공부하는 일』에 실릴 인터뷰 녹취록을 열어 보곤 했습니다. 마감 중엔 늘 다른 일이 재밌다지만, 꼭 한번 만나 이야기하고 싶었던 분과의 대화는 기분 좋은 충전제로 눈앞의 일을 이어 갈 힘을 주는 것 같아요. 초대 편집위원이자 최장기 여성 편집위원으로 과학잡지 《에피》를 꾸려 온 강연실 박사님, 『온라인의 우리 아이들』의 저자 김아미 선생님과의 만남에서 얻은 감동과 깨달음을 어서 여러분께 전하고 싶네요.
이번 특별부록은 정기구독자에게만 가는 한정판 표지와 서점 판매용 일반판 표지를 다르게 준비했어요. 내가 모르는 대학에 관한 열 편의 이야기, 여섯 연구자의 배움의 태도가 궁금하시다면! 정기구독으로 《한편》 10호 ‘대학’과 『공부하는 일』을 가장 빨리 만나 보세요.
민음사
1p@minumsa.com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1길 62 강남출판문화센터 5층 02-515-2000
수신거부 Unsubscribe